본문 바로가기

천년미소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慶州 南山 塔谷 磨崖佛像群)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慶州 南山 塔谷 磨崖佛像群) -

 

종         목: 보물  제201호
명        칭: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慶州 南山 塔谷 磨崖佛像群)
분         류: 유물 / 불교조각/ 석조/ 불상
수량 / 면적: 1군
지정(등록)일: 1963.01.21
소    재  지: 경북 경주시  배반동 산72, 산79
시       대: 통일신라
소유자(소유단체): 국유
관리자(관리단체) :경주시

 

 

-남면삼존상 표정들이 넘 잼난다.-

 

 

-바위 남면 삼존불상 앞쪽의 나한상이 보여진다.-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보리나무 밑에서 좌선하는 동면의 승려상-
(보리수 나무라 (까우뚱^^) 내 눈에는 열대지방에 야자수 나무처럼 보인다.)
 
 
보리자나무가 절에서는 흔히 보리수나무로 불린다. 이는 피나무과(Tili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키는 10m 정도이다.
잎은 심장형으로 잎끝이 뾰족하며 잎의 기부는 조금 파여 있다.
잎에는 회백색의 별 모양의 잔털이 있고, 연한 노란색의 꽃은 이른 여름에 취산(聚繖)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꽃자루에 커다란 포(苞)가 달려 열매가 익을 때까지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다.
열매는 구형의 핵과(核果)로 익는다. 중국 원산으로 한국에는 불교와 함께 들어온 것으로 알려질 뿐, 언제부터 심기 시작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석가가 그 밑에서 해탈한 나무라 해 절에서 주로 많이 심고 있으나, 불교에서 말하는 보리수와는 다른 나무이다.
석가와 관련된 보리수는 보오나무이다. 이 나무는 인도의 가야산(伽倻山)에서 자라는 나무로 사유수(思惟樹) 또는 인도보리수라고도 부른다.
보오나무는 상록교목으로 키가 30m에 이르며 잎 기부가 꼬리처럼 길게 자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통일신라의 시간의 흐름속 그들의 발자취 -

 

 

-바위 동면 향우측 삼존불상 좌협시보살상 및 비천상-
 

 

                                                        -남면산신상 곡선이 넘 아름답다.-                            -무뚝뚝한  남면의 삼층석탑-

 

 

-경주 남산탑곡마애조상군(서면)-

 

 

-남산에서 내려오는 길에 장난끼가 발동해서  가을단풍에게 말을 걸어 본다. 후후 -

 

 
-  북면 9층탑-                 -북면 본존상-              -북면 7층탑-            -북면 사자상-
  

이 일대는 통일신라시대에 신인사라는 절이 있었던 곳이다. 남쪽의 큰 바위에는 목조건물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석탑조각들이 흩어져 있는 것으로 보아

남쪽면의 불상을 주존으로 하여 남향사찰을 경영했었음을 알 수 있다. 9m나 되는 사각형의 커다란 바위에 여러 불상을 회화적으로 묘사하였다.


남쪽 바위면에는 삼존과 독립된 보살상이 배치되어 있고, 동쪽 바위면에도 불상과 보살, 승려, 그리고 비천상(飛天像)을 표현해 놓았다.

불상·보살상 등은 모두 연꽃무늬를 조각한 대좌(臺座)와,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 한 광배(光背)를 갖추었으며 자세와 표정이 각기 다르다.

비천상은 하늘을 날고 승려는 불상과 보살에게 공양하는 자세이지만 모두 마멸이 심해 자세한 조각수법은 알 수 없다.

서쪽 바위면에는 석가가 그 아래에 앉아서 도를 깨쳤다는 나무인 보리수 2그루와 여래상이 있다.

하나의 바위면에 불상·비천·보살·승려·탑 등 다양한 모습들을 정성을 다하여 조각하였음은 장인의 머리속에 불교의 세계를 그리려는 뜻이 역력했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조각양식은 많이 도식화되었으나 화려한 조각을 회화적으로 배치하여 보여주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특이한 것이다.    출처:문화재청

'천년미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은사터.삼층석탑  (0) 2013.03.23
신라 흥덕왕릉( 興德王陵)  (0) 2012.08.16
여래사 연리목 [連理木]  (0) 2012.01.15
일본 답사/오사카,교토 자료들  (0) 2012.01.13
울주 천전리각석 (蔚州川前里刻石)  (0) 2012.01.05